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주식 정보인 게시물 표시

주식에서 숏과 롱의 뜻과 언제부터 사용했을 까?

 주식에서 숏과 롱 어떤 의미일까요? 숏 short - 매도 주식 시장에서 숏(short)은 '주식을 판다' 또는 '주가 하락에 배팅한다'는 뜻입니다. 숏 셀링(short selling), 셀 숏(sell short)으로 많이 쓰입니다. 숏 셀링은 공매도를 말합니다. 공매도의 '공(空)'은 한자로 비어 있다는 뜻, 즉 내 손에 없는 것을 판다는 의미 입니다. 어떤 주식을 갖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팔겠다고 '매도 주문'을 하는 겁니다. 현재 10만 원인 A주식의 가격이 곧 하락할 듯한 상황이라 가정합니다. 공매도 투자자 이씨는 A주식 1주를 빌려 10만 원에 팝니다. 그리고 며칠 뒤 예상대로 주가가 8만 원으로 떨어졌습니다. 이때 1주를 8만 원에 사서 며칠 전 빌린 A주식을 갚으면 2만 원의 차익이 생깁니다. 이게 공매도의 원리 입니다. 이렇듯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하는 데에 배팅합니다. 그래서 주가가 떨어지는 시장에서도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롱 long - 매수 롱(long)은 숏(short)과 반대로 '매수하다' 또는 '주가 상승에 배팅한다'는 뜻 입니다. 핵심은 이 주식은 오를 것으로 판단하니 사서 갖고 있겠다는 것입니다. 이 상태를 '롱 포지션(long position)이라고 합니다. 고수가 아닌 많은 평범한 투자자는 주식이 쌀 때 사서 비싸지면 파는데 이러한 투자 형태가 롱(long)입니다. 숏(short)과 롱(long) 언제부터 쓰였을까요? 어떤 이유로 숏(short)이 매도, 롱(long)이 매수로 쓰였는지에 관한 정설은 없습니다. 단지 추정하는 설만 있습니다. 한 가지 가설은 18세기 초 미국 동부 곰 가죽 시장이 성행했을 때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곰 가죽값이 아주 비쌀 때 똑똑한 상인들이 수중엔 가죽이 부족한데도 일단 파는

공매도 금지란? 금융시장을 지켜나가는 첫걸음

 공매도 금지: 금융시장을 지켜나가는 첫걸음 공매도의 개념과 문제점 공매도의 개념 공매도는 주식 시장에서 투자자가 보유하지 않는 주식을 팔 수 있는 거래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는 투자자가 주식을 대여받아 판매하고, 나중에 주식을 더 싸게 사서 대여받은 주식을 상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공매도는 주식 가격 하락을 예상하고 이를 활용하여 이익을 얻으려는 투자자들에게 제공되며, 주식 시장의 투기와 변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공매도의 문제점 시장 조작 가능성 : 공매도는 주가 하락을 유도하기 때문에 주식 시장을 조작할 수 있는 도구로 악용될 수 있습니다. 대규모 공매도 거래로 주가를 인위적으로 떨어뜨리는 경우가 있어, 시장의 공정성과 안전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시장 안정성 위협 : 공매도는 주가 하락을 격려하므로 금융 위기 시에 주가 폭락을 가속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008년 금융 위기 때 공매도 활동이 금융 시스템의 불안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했습니다. 투기와 짧은 시각 : 공매도는 주가 하락을 목표로 하므로 장기적인 투자와 시장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이 단기 이익을 추구하는 경향이 생겨 시장 변동성이 증가하고 투기적 거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미래 예측의 어려움 : 공매도는 주가 하락을 예측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잘못된 예측으로 인해 큰 손실을 입을 수 있고, 이로 인해 금융 불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규제의 필요성 :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많은 국가에서 공매도 활동을 규제하거나 금지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규제의 필요성이 점차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금융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려는 시도가 진행 중입니다. 공매도는 주식 시장에서 중요

공매도 잔고? 그 영향과 주식 시장의 흥미로운 이야기

 공매도 잔고와 그 영향: 주식 시장의 흥미로운 이야기 공매도 잔고란 무엇인가? 공매도 잔고는 주식 시장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특정 주식의 공매도 거래에서 미청산된 포지션의 총 합계를 나타냅니다. 공매도는 주식을 대여하고 이를 시장에 팔아, 주가가 하락할 때 다시 주식을 구입하여 상응하는 주식을 반납하는 거래입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미청산된 포지션은 아직 반납되지 않은 공매도 주식을 나타냅니다. 공매도 잔고는 주식을 공매도한 투자자들의 미청산된 포지션을 추적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이 지표는 해당 주식의 단기적인 공매도 거래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며, 공매도 잔고가 높을수록 해당 주식에 대한 판단이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공매도 잔고가 높을 때, 시장 참여자들은 주가의 하락을 예상하거나 해당 주식에 대한 부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공매도 잔고는 투자자가 단기적으로 주식 시장에서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투자 전략을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공매도 잔고 데이터는 주식 시장의 투자자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며, 주식의 가격 움직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공매도 잔고의 중요성은 무엇인가? "공매도 잔고"의 중요성은 주식 시장에서 다양한 측면에서 발견됩니다. 이 중요성은 투자자, 시장 참여자 및 시장 안정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측면에서 나타납니다.  1. 시장 신호의 제공 공매도 잔고는 주식 시장의 투자자들에게 특정 주식에 대한 시장 신호를 제공합니다. 미청산된 공매도 포지션의 증가는 시장 참여자들이 해당 주식의 가격 하락을 예상하거나 해당 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2. 주가 영향 공매도 잔고가 높을 때, 이는 시장에서 해당 주식의 공매도 포지션이 크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주식 공매도란? 그리고 공매도의 장단점 및 예시와 성공 스토리

 주식 공매도 이해하고 투자 전략 세우기 주식 공매도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주식 공매도"는 주식 시장에서 특정 주식을 빌려 판매하고, 나중에 해당 주식을 더 낮은 가격에 다시 구매하여 대여한 주식을 반환하는 투자 전략 또는 거래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공매도 투자자는 주가가 하락할 때 이익을 창출하려고 시도합니다. 공매도의 주요 요소와 원리 빌린 주식 판매 : 공매도 투자자는 주식을 빌려오고 시장가격에 판매합니다. 이로 인해 해당 주식은 시장에서 더 많이 팔린 것처럼 보입니다. 주가 하락 기대 : 공매도 투자자는 해당 주식의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기대하며, 주가 하락이 발생하면 낮은 가격으로 주식을 다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이익 창출 : 주가가 하락한 경우, 공매도 투자자는 차이를 이익으로 얻게 됩니다. 즉, 주식을 빌려 팔 때 받은 금액과 주식을 다시 구입할 때 지불한 금액 사이의 차액을 이익으로 얻는 것이 목표입니다. 위험 요소 : 공매도는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손실을 입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무한 손실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주가가 계속 상승하면 공매도 투자자는 주식을 다시 구입할 때 높은 가격으로 구입해야 하므로 손실이 누적될 수 있습니다. 시장 불안 요인 : 공매도는 주식 시장에서 불안을 조장하거나 시장 조작의 소지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윤리적 논란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주식 공매도는 투자자들에게 주가 하락 시 수익을 창출하는 기회를 제공하지만, 주의가 필요한 투자 전략 중 하나입니다. 특히, 공매도를 활용하려는 투자자는 주식 시장의 동향과 위험을 신중히 평가해야 합니다. 주식 공매도의 윤리적 쟁점 주식 공매도에는 다양한 윤리적 쟁점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윤리적 쟁점은 주식

주식하혀면 꼭 알아야 하는 PER 쉽게 이애하기

 주식하혀면 꼭 알아야 하는 PER 쉽게 이애하기 주식에 투자 중이라면 저평가된 주식을 골라 싸게 사고 싶을 거예요. 그러려면 주식의 벨류에이션, 즉 가치를 파악해야 합니다. 이렇게 기업의 가치를 나타나는 몇 가지 지표가 있는데 PER도 그중 하나 입니다. 가장 쉽게 PER 이해하기 주식 투자를 해 본 사람은 한번쯤 PER를 들어봤을 겁니다. 한 기업의 가치와 적정 주가를 가늠하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원래의 이름은 Price Earning Ratio, 주가 수익 비율 입니다. PER를 알려면 기업이 원래 얼마를 갖고 있는지, 지금은 수익을 얼마나 내는지 등을 알아야 합니다. 여기 1,000만 원을 들여 세운 회사가 있습니다. 이 회사가 1년간 벌어 들이는 수익은 100만 원, 그러면 이 회사의 전체 가치는 얼마나 될까요 자본금이 1,000만 원이고 1년에 100만 원을 벌고 있으니, 1100만 원의 가치가 있다고 할게요. 1,100만 원은 이 회사가 1년에 벌어들이는 수익 100만 원의 11배인데, 바로 이 11배가 PER입니다. 앞에서 나온 단어를 경제 용어로 다시 정리해 보면 이 회사의 총 가치 : 시가총액 (발행한 주식 가치와 회사의 자기 자본 등을 모두 합한 금액) 보유하고 있는 돈 : 자기자본 연 수익 : 당기순이익 PER은 기업에 대한 '기대'를 반영 개념을 이해했다면 이번엔 실제 PER을 구하는 방법 입니다. PER = 주가 / 1주당 당기순이익 즉, 현재 주가를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그 회사의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 다시 말해 이 기업이 얻은 순이익 1원이 시장에서 어느 정도로 평가되고 있느냐를 나타낸 값입니다. PER가 높다면 현재 이 회사가 버는 수익에 비해 주가가 높다는 뜻 입니다. 고평가 돼 있다는 뜻입니다. 반대로 PER